본문 바로가기

설교말씀

2025년 4월 13일 주일설교 - 겸손의 왕 - 마 21:1-11



본문 말씀: 마태복음 21:1-11 (개역개정)

1. 그들이 예루살렘에 가까이 가서 감람산 벳바게에 이르렀을 때에 예수께서 두 제자를 보내시며,
2. 이르시되, “너희는 맞은편 마을로 가라. 그리하면 곧 메인 나귀와 나귀 새끼가 함께 있는 것을 보리니 풀어 내게로 끌고 오라.
3. 만일 누가 무슨 말을 하거든 주가 쓰시겠다 하라. 그리하면 즉시 보내리라” 하시니,
4. 이는 선지자를 통하여 하신 말씀을 이루려 하심이라. 일렀으되,
5. “시온 딸에게 이르기를 ‘네 왕이 네게 이르되, 그는 겸손하여 나귀 곧 멍에 메는 짐승의 새끼를 탓도다’ 하라” 하였느니라.
6. 제자들이 가서 예수께서 명하신 대로 하여,
7. 나귀와 나귀 새끼를 끌고 와서 자기들의 겉옷을 그 위에 얹어 예수께서 그 위에 타시니,
8. 무리의 대부분은 그들의 겉옷을 길에 펴고, 다른 이들은 나뭇가지를 베어 길에 펴고,
9. 앞에서 가고 뒤에서 따르는 무리가 소리 높여 이르되, “호산나 다윗의 자손이여, 찬송하리로다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 가장 높은 곳에서 호산나” 하더라.
10. 예수께서 예루살렘에 들어가시니 온 성이 소동하여 이르되, “이는 누구냐?” 하거늘,
11. 무리가 이르되, “갈릴리 나사렛에서 나온 선지자 예수라” 하니라.

 

1. 종료주일의 의미: 고난 주간의 시작, 예루살렘 입성

종료주일은 예수님께서 나귀를 타고 예루살렘에 입성하신 사건을 기념하는 날로, 고난주간의 시작이다.

당시 무리는 종려가지를 흔들며 “호산나, 다윗의 자손이여”라 외치며 환영했다.

종려나무승리와 왕의 도래를 상징한다.

→ 사람들은 예수님을 로마로부터 해방시킬 정치적 메시아로 오해하였다.

 

2. 예수님은 겸손의 왕으로 오셨다

예수님은 스가랴 9:9의 예언을 성취하기 위해 나귀를 타고 입성하셨다.

나귀는 평화와 겸손을 의미함.

→ 말이 아닌 나귀를 탔다는 것은 전쟁이 아닌 평화를 전하러 오신 왕임을 드러낸다.

 

중요한 교훈:

→ 예수님의 모든 행동은 우연이 아닌, 하나님의 뜻에 따른 예언의 성취였다.

→ 예수님은 하나님의 시간표에 따라 오셨고, 오늘도 그 뜻은 반드시 이루어진다.

 

3. 주님의 뜻은 우리의 기대와 다를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필요에 맞는 메시아를 기대하며 예수님을 따랐다.

→ 문제 해결자, 성공의 도우미, 부와 안정의 보장자로 인식

그러나 예수님은 하나님의 뜻을 이루기 위한 왕으로 오셨다.

 

우리의 질문:

→ 나는 나의 기대에 맞춘 예수님을 따르고 있는가?

→ 아니면 하나님의 뜻을 이루시는 참 왕이신 예수님을 따르고 있는가?

 

4. 순종의 제자, 이름 없는 나귀도 쓰임받는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명령하셨고, 제자들은 그 말씀에 즉시 순종했다.

나귀는 이름도, 주인도 알려지지 않은 평범한 존재였지만,

주의 손에 붙들리자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도구로 쓰임받았다.

 

순종의 원리:

조건설명

순종 이해되지 않아도 즉시 따르는 태도
헌신 시간, 물질, 재능을 기꺼이 내어놓는 결단
믿음 평범함 속에서도 하나님의 일을 감당하는 자세

 

5. 진정한 믿음은 감정이 아니라 삶의 고백이다

군중들은 예수님께 “호산나”를 외치며 열광했지만,

→ 며칠 후 “십자가에 못 박으라” 고 외쳤다.

이는 감정에 휩쓸린 신앙이었고, 믿음이 아니라 기대가 중심이었던 것이다.

 

믿음 vs 감정의 차이

감정 중심 신앙믿음 중심 신앙

상황 따라 변함 상황과 무관하게 지속됨
기대 충족이 중심 하나님의 뜻이 중심
주님의 도움만 바람 주님 자체를 따름

 

 

6. 예수님을 누구로 믿고 있는가?

당시 사람들은 예수님을 “나사렛 출신 선지자”로만 인식했다.

“반은 맞고 반은 틀린 고백”

→ 예수님은 하나님의 아들이자, 유일한 구원자, 참 왕이시다.

 

우리의 믿음 고백 점검:

→ 나는 예수님을 존경할 인물로 믿고 있는가?

→ 아니면 십자가와 부활을 통해 나를 구원하신 하나님의 아들로 고백하고 있는가?

 


결론 정리

핵심 메시지내용

예수님의 예루살렘 입성 하나님의 약속 성취, 겸손의 왕으로 오심
믿음의 본질 기대가 아니라 순종과 고백의 삶
순종의 제자됨 이해 이전에 따르는 태도, 희생이 동반되어야
신앙의 경고 감정 중심 신앙은 무너진다. 믿음으로 주를 따르자
우리의 응답 주님의 뜻에 겸손히 순종하며 참 왕으로 모시자

 

📌 주님은 오늘도 나귀를 타고 조용히 우리의 마음에 들어오기를 원하십니다.

주님을 나의 기대가 아닌, 참 왕으로 믿고,

그분의 뜻에 순종하는 진정한 제자 되기를 결단합시다.

 

아멘.